본문 바로가기

필사추천도서34

소극적인 아이를 한발 움직이게 하려면 소극적인 성격이 반드시 나쁜 것은 아닙니다. 다만 가까이 다가가지 않으면 보이지 않는 것들이 있고, 늘 주저하며 곁에 다가서지 못하면 평생 볼 수 없습니다. "자신 있게 살아가면 희망과 용기가 생긴단다." "적극적으로 부딪쳐봐야 제대로 알 수 있지." "어렵게 느껴질 수 있어. 하지만 막상 발을 떼보면 그렇게 어렵지만은 않아." 아이에게 이러한 말을 자주 들려주면서 자연스럽게 발을 뗄 수 있게 도와주세요. 소극적인 아이가 답답하다고 큰소리로 화를 내지는 마세요. 거대한 힘만이 아이를 움직이는 건 아닙니다. 부드러운 방식으로도 아이의 마음을 흔들 수 있습니다. 입김을 작게 불어야 여린 꽃이 아름답게 흔들리는 일처럼 말이지요. 소극적인 아이일수록 부모가 작은 입김으로 말을 전해야 합니다. 그런 부모와 함께일.. 2024. 1. 4.
아이가 친구때문에 힘들어 한다면 무조건 좋기만 한 친구를 만나는 건 어려운 일입니다. 잘 안 맞는 친구가 있을 때 어른들은 만남의 횟수를 점차 줄여 나가면 되지만 아이들은 같은 놀이터나 교실에서 매일 마주쳐야 합니다. 아이가 자신과 달라 조금 불편한 친구가 있다고 하면, 최대한 그와 잘 지낼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서로 다를 수 있어, 옳고 그름이 아니야." "네가 먼저 다가가보면 어때?" "그 친구를 밀어내는 건 지않아." "그 친구의 어떤 부분이 마음에 안 들어?" 너의 마음을 친구에 세 어떻게 전할 수 있을지 고민해 보자." 많은 시간을 함께하는 친구들과 좋은 관계를 쌓아야 좋은 하루도 만들 수 있습니다. 2024. 1. 3.
아이는 부모가 보여준것만 배운다. 부모가 서로 아끼고 사랑하면 아이는 주변인과 사랑을 나누는 법을 배울 수 있고, 부모가 서로 싸우고 증오하면 아이는 관계에서 미움과 결별의 이유부터 발견하게 됩니다. 아이가 여러분의 삶에서 무엇을 배우고 발견하기를 바라나요? 아이는 자신의 경험에서 배움을 얻지 자신이 경험하지 않은 것에서 무언가를 발견하지 않습니다. 아이가 무언가를 배우고 찾았다면 그것은 과거 어느 순간에 부모가 보여줬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2024. 1. 2.
보상에 길들여진 아이는 자율성을 잃는다 지성과 인성, 그리고 기품까지 모두 갖춘 사람들은 '무엇을 원해서 공부를 하는가?라는 질문에 이렇게 대답합니다. "제가 원해서 합니다.보상을 우너해서 공부를 하는게 아닙니다." 아이에게 무언가를 시키며 보상을 약속하지 마세요 . 아이에게 채찍을 써도 안되지만 매 순간 남발하는 당근도 좋지 않습니다. 보상에 길들여진 아이는 자율성을 잃어버립니다. 자기 주도도 어려워집니다. 자기 삶의 주인공이 되기는 더더욱 힘듭니다. 아이에게 바라는것, 보고싶은 모습이 있다면 부모가 자신의 일상에서 먼저실천하세요. 세상에서 가장 완벽한 미리보기는 모니터가 아닌 부모의 삶에 존재합니다. 2023. 12.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