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사추천도서34 사랑을 전하는데 어휘력은 중요하지않다 부모의 어휘력 수준이 높아야만 아이에게 예쁜 말을 들려줄 수 있는 건 아닙니다. 지금 그 상태로도 충분히 아이에게 예쁜 말을 들려줄 수 있습니다. 마음의 눈으로 아이를 본다면 언제고 내 안에서 가장 예쁜 말을 꺼낼 수 있습니다. "소중한 마음을 어떻게 전달할 수 있을까?" "어떤 말을 해야 아이를 기쁘게 해 줄 수 있을까?" "같은 말도 예쁘게 하려면 어떤 표현을 써야 할까?" 이 질문들을 마음속에 늘 품기를 바랍니다. 2024. 2. 1. 아이의 의향을 물어서는 안될때 아이의 뜻과 의지를 존중하는 일은 바람직합니다. 하지만 당연히 지켜야할 규칙들까지 아이의 의향을 묻고 배려한다면 오히려 아이를 망칠지 모릅니다. '식사후자신의 그릇치우기' '장난감정리하기 ' '양치질하기' 이런것들까지 의향을 묻는다면 '아 이런건 내가 안해도 상관없구나' 라고 아이는 생각합니다. 당연한 일에 대해서는 아이에게 선택권을 주지 마시고 왜 해야 하는지 설명해주세요. 반드시 지켜야할 규칙이 있고 그걸 지킬때 더 나은 사람이 된다는 사실을 아이가 알게 해 주세요. 2024. 1. 20. 반복은 습관을 습관은 미래를 만든다 아이의 미래를 긍정적으로 떠올리다가도 문득 불안란 마음과 부정적인 생각이 엄습합니다. 한번 부정적인 생각이 들면 열 번 긍정적인 생각을 열번 부정적인 생각이 들면 백번 긍정적인 생각을 하며 의식적으로 자신의 삶을 긍정주파수에 맞추세요. 긍정의 반복은 긍정의 습관이 될 것입니다. 긍정의 습관은 긍정의 미래가 될 것입니다. 2024. 1. 19. 부모가 감정을 선명하게 표현해야 하는 이유 기쁨, 환희, 슬픔, 미움, 열망, 낙담등 우리는 하루에도 수많은 감정을 느끼지만 그걸 밖으로 꺼내는 건 굉장히 어려운 일입니다. 다양한 감정에 대해 배울 기회가 적었을 수 있고, 그래서 감정을 표현하는 일이 더욱 어려웠을 수 있습니다. 더구나 화, 슬픔, 실망 등 부정적인 감정을 표현했을 때 자신이 부모에게 받았던 꾸지람이 생각나 다른 감정들까지 표현하기 꺼려지고 심지어는 내 감정을 숨기는 일에 익숙해졌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제라도 선명하게 감정 표현을 해야 합니다. 그래야 아이도 다양한 감정을 배워 나갈 수 있습니다. 무궁무진한 감정의 세계에 빠져 있을 때 아이는 인간을 더 깊게 이해할 수 있고 겹겹의 이야기가 많은 더욱 풍성한 삶을 살 수 있습니다. 부정적인 감정도 표현하게 해 주세요. 슬플 때.. 2024. 1. 18. 이전 1 2 3 4 ··· 9 다음